티스토리 뷰
원본 영상을 빠른 재생으로 감상하기 위해서는 파일을 수정해야 하는데요, 그럴때 사용해볼 수 있는 프로그램 중에 인코더가 있습니다. 영상을 편집하거나 확장자를 변경하는 등의 작업을 하고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동영상 빨리감기 작업 후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이번시간에 이용해볼 소프트웨어는 카카오 인코더입니다.
네이버 소프트웨어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키워드로 검색하시면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습니다. 동영상 변환 부분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요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은 것 같네요. 무료로 다운받아서 설치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.
그럼 이제 인코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작업을 시작하겠습니다. 창의 중앙 좌측에 있는 [파일 추가] 버튼을 눌러서 자신의 컴퓨터에
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불러오기 합니다. 그리고 상단의 리스트에 잘 올라갔는지 확인한 후 [현재 설정값 변경] 버튼을 눌러주세요.
편집을 위한 창이 나오는데 포맷을 변경하거나 영상 및 오디오, 자막과 관련하여 원하는대로 옵션을 바꿀 수 있습니다. 맨 우측 하단 부분에서는 속도 변경을 하실 수 있는데요 기본은 1로 되어있지만 1.5라든지 2 또는 2.5와 같이 속도를 바꿀 수 있습니다. 수치를 올릴수록 빨라진다고 보시면 됩니다.
옵션을 바꾸셨으면 [폴더변경] 단추를 눌러서 어디에 저장할 것인지를 지정합니다. 그리고 [변환 시작]을 클릭하여 동영상 빨리감기 옵션을 적용한 인코딩 작업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.
'2018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입영사실확인서 발급 신청방법 (2) | 2018.06.25 |
---|---|
크롬 플래시 허용 설정 팁 (0) | 2018.06.23 |
컴퓨터 클립보드 보는법 (0) | 2018.06.20 |
노래 편집기 순위 알아보기 (0) | 2018.06.14 |
kyocera 드라이버 설치하기 (0) | 2018.06.13 |